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

마켓컬리 국내증시 상장, 관련주

쿠팡이 미국 뉴욕 증시에 상장한 이후로 다른 스타트업도 미국 시장 상장을 노리고 있었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마켓컬리입니다. 하지만 마켓컬리는 고심 끝에 미국이 아닌 한국 시장에 상장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합니다. 

 

마켓컬리가 국내 상장으로 마음을 바꾼 이유

마켓컬리는 왜 미국이 아닌 한국 상장을 하려는 걸까요? 

1. 코스피 상장 요건 완화

한국에서 코스피에 상장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재무 조건을 만족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이익이 나지 않는 스타트업들은 까다로운 재무 조건을 만족하기가 쉽지 않았죠. 그렇다면 대안으로 코스닥에 상장을 하거나 미국 시장을 노렸어야 했지요. 하지만 한국거래소가 조건을 대폭 완화해 주어서 시가총액이 1조원만 넘으면 상장이 가능해졌고 재무적인 지표보다는 성장성을 중시하는 심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습니다. 

2. 국내 시장에서 사업 영위중

아시다싶이 마켓컬리는 국내 시장에서만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쿠팡도 마찬가지이긴 하죠. 그렇기 때문에 미국에 상장해서 글로벌 투자자들을 유치하는게 그렇게 만만치 않을 수도 있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향후 마켓 컬리가 해외 진출을 할 생각이 아니라면 앞으로도 한국에서 사업을 할 것이고 마켓 컬리에 익숙한 한국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받겠죠. 

 

마켓컬리 관련주

마켓컬리가 상장을 하게 되면 쿠팡만큼이나 많은 관심을 끌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국에서 너무나도 유명한 기업이기 때문이죠. 

 

마켓컬리 공모주를 받는 것도 좋은 투자이지만 공모주를 받기 위해서는 씨드가 엄청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상장하는 주식의 관련주들을 활용한 투자를 하고 계십니다. 그런 맥락에서 마켓컬리 관련주를 살펴보았습니다. 

 

1. SK네트웍스

마켓컬리 지분을 2.4% 보유하고 있습니다. 

 

2. 미래에셋벤처투자

시리즈 D 투자(1000억원 규모)에 투자한 바 있습니다. 정확한 지분은 얼마인지 모르겠네요. 

 

3. 팜스코

하이포르라는 자체 브랜드가 마켓컬리를 통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4. 흥국에프엔비

과일주스와 베이커리를 마켓컬리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5. DSC인베스트먼트

2015년에 50억원을 투자한 바 있는 얼리 투자자입니다. 

 

6. 팜스토리

정육, 육가공업체이며 마켓컬리를 통해 매출을 내고 있습니다. 

 

7. 케이씨피드

유정란을 마켓컬리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8. 푸드나무

닭가슴살을 마켓컬리에서 판매중입니다. 

 

9. 태경케미컬

드라이아이스 업체로 마켓컬리 사업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10. 우양

신선식품, 냉동식품을 마켓컬리를 통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11. 이씨에스

마켓컬리의 콜센터를 운영하는 업체입니다. 

 

마켓컬리 상장일정 등 더 자세한 상황이 파악되면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