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NFT, 디파이 등 최근 너무 다양한 투자 대상/방법이 나와서 혼란스러우실 텐데요, 새로운 재테크 수단으로 손꼽히는 디파이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관련 용어들을 정리했습니다.
디파이 용어 정리
디파이
Decentralized Finance의 줄임말로 탈중앙화 된 금융을 의미함.
여러 가지 정부 규제에서 자유로움
디앱
Decentralized Applications로 탈중앙화 앱을 가리킴.
대출, 보험, 결제 등 다양한 액션이 가능함.
덱스(DEX)
Decentralized Exchange로 탈중앙화 거래소를 의미함.
중앙집중형 금융 인프라와 달리 가운데에서 중개를 하는 기관이 없기 때문에 Peer to peer 방식으로 가상자산 교환 및 거래가 가능함.
스테이블 코인
코인의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코인.
대부분의 코인들은 하루에도 급등/급락하는게 일반적이나, 스테이블 코인은 가치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됨.
왜냐하면 코인을 발행하는 개발사에서 일정 금액을 보장하기 때문.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은 테더(USDT)와 다이(DAI)로 각각 1달러임.
주로 안전한 송금을 위해 사용함.
거버넌스 코인
디파이 자체 플랫폼에서 발행한 코인이며 곡괭이 코인이라고 부르기도 함
디파이 거래소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발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도하게 발행이 되면 가치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음.
유동성 풀
활발한 거래를 보장하고 가치 왜곡을 막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유동성이 담보되어야 함.
마켓 메이커들이 없고 사용자들이 특정한 인센티브를 받고 유동성 풀에 참여함.
스테이킹
은행에 예금/적금을 해서 이자를 받는 것과 비슷함.
유동성을 어느 정도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예치해 두면 이자가 지급됨.
이자는 기존 화폐가 아니라 코인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코인의 가치가 떨어지면 이자의 실질 가치도 떨어짐에 유의.
예를 들어 xx코인 1개를 스테이킹 해 두고, 이자로 xx코인 0.5개를 받으면 코인 수익률로는 50%이지만, 코인 가치가 절반으로 떨어지면 실질 수익률은 25%로 하락함.
스마트 계약
블록체인에서 특정 조건이 만족 됐을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월렛
암호화폐를 보관해주고 송금에 사용하는 온라인 지갑.
대표적으로는 메타마스크, 클립, 카이카스 등이 있음.
클립과 카이카스는 클레이 코인 전문 지갑이며 메타마스크는 대부분의 코인을 모두 담을 수 있는 지갑임.
가스비
코인 거래를 가증하게 해 주는 수수료/통행료의 개념
거래가 시작되었을 때, 거래가 완료 되었을 때, 데이터를 저장할 때 가스비를 내게 됨.
가스 가격은 코인마다 다르고 어떤 실행이냐에 따라 다름에 주의
리플이 회당 천원, 클레이가 회당 100원 이하, 바이낸스 코인이 회당 50원, 솔라나가 회당 1원 이하임.
스왑
A코인을 B코인으로 바꿔 주는 행위
스왑이 불가능하다면 A코인을 B코인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A코인을 팔아서 원화를 얻고, 그 원화로 다시 B코인을 사야하는데 이런 거래는 번거롭기도 하고 수수료도 두 번 내야 함.
가상화폐 트래블룰 시행
가상화폐 관련 입법화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3월 25일부터는 트래블룰이 시행되었습니다. 트래블룰이란? 트래블룰은 가상자산을 통한 자금세탁 등의 범죄를 막기 위한 자금 이동 추적 시스템입
gangx2libr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