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에 청년 주택 정책 공공분양 50만호 공급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나눔형/선택형/일반형 3가지 타입이 있고 각각 청약 조건이 상이하니 꼭 확인하셔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1. 공급계획
- 미혼청년 5.25만호
- 신혼부부 15.5만호
- 생애최초 11.25만호
- 일반 무주택자 18만호
정리해 보면 청년들에게 34만호를 공급하는 정책이라 청년 주택 정책이라고 불립니다.
2. 공급지역
- 수도권 36만호
- 비수도권 14만호
입지도 도시 외곽보다는 국공유지, 지하철이 깔리는 곳, 역세권에 위치하고 있어 굉장히 좋은 조건입니다.
자세한 위치 정보는 아래 기사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774005?lfrom=kakao
고덕 강일·고양 창릉 노려라…"주변시세 70~80% 분양"
다음달부터 서울 도심과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총 1만1000가구에 대한 사전 청약이 시작된다. 서울 도심 3289가구, 수도권 공공택지 7302가구다. 정부가 지난달 내놓은 ‘청년·서민 주거 안정을 위
n.news.naver.com
3. 공급 유형
나눔형(35만호) : 시세 70% 이하 분양, 시세차익 70% 보장
의무거주기간이 5년이기 때문에 꼭 5년은 이 집에 살아야 합니다. 그 이후에 집을 팔게 되면 그 시세 차익의 70%를 얻게 됩니다. 3% 미만 금리로 전용 모기지 상품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선택형(10만호) : 6년간 임대거주 후 분양 여부 선택
보증금의 80%를 1.7%라는 저리에 빌릴 수 있습니다. 6년 후에 집을 구입하기로 결정하면 40년 만기 3% 미만 금리로 대출이 나옵니다. 만약에 6년 거주 후에 집을 사지 않기로 결정하면 이사를 나갈 수도 있고 최대 4년 더 거주가 가능합니다.
일반형(15만호) : 시세의 80% 수준 분양
기존의 청약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추첨제 비율이 20%로 높기 때문에 청년층 뿐만 아니라 4050세대들의 당첨 기회도 충분히 있습니다.
4. 청약 일정
아직 정확한 날짜가 공개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주 청약홈과 LH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살펴 보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22년 하반기]
- 고덕강일3단지
- 고양창릉
- 양정역세권
- 남양주진접2
['23년 상반기]
- 마곡 10-2
- 마곡 택시차고지
- 남양주왕숙
- 안양관양
- 남양주진접2
- 구리갈매역세권
- 동작구 수방사
- 성동구치소
['23년 하반기]
- 고덕강일3단지
- 면목행정타운
- 위례A1-14BL
- 남양주왕숙2
- 안양매곡
- 부천대장
- 고양창릉
- 서울대방 공공주택지구
5. 청약 조건
기본 요건 | 소득 요건 | 자산 요건 | |
청년 | 주택 소유한 적 없음 19-39세 미혼 |
1인가구 월평균 소득 140% 이하 | 순자산 2.6억원 이하 |
신혼부부 | 예비신혼 부부 or 혼인 7년 이내 부부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부부 or 한부모 가족 |
월평균 소득 130% 이하 | 순자산 3.4억원 이하 |
생애최초 | 주택 소유한 적 없음 배우자 or 미혼자녀 있는 소득세 5년 이상 납부자 |
월평균 소득 130% 이하 | 순자산 3.4억원 이하 |
중장년층 | 다자녀, 노부부 등 | 월평균 소득 120% 이하 | 순자산 3.4억원 이하 |